경제 이슈를 친절하게 풀어드리는 '경제픽' 시간입니다. <br /> <br />오늘은 이형원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첫 번째 주제, 먼저 영상으로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2금융권에서 가계대출이 많이 늘었나 보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가계대출 급증세가 한풀 꺾였다는 뉴스 많이 보셨을 텐데요. <br /> <br />저희도 관련 보도를 했는데 대출이 급감한 곳은 시중은행이고요. <br /> <br />2금융권은 분위기가 좀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구체적으로 한 번 볼까요. <br /> <br />지난달 30일 기준 2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 원 넘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잠정치이긴 하지만, 2021년 11월 이후 오름폭이 가장 컸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절반은 새마을금고 같은 상호금융권이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달리 5대 은행은 지난달 오름폭이 1조 천억 원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8월 9조 원, 9월 6조 원에 육박했던 것과 비교하면 그야말로 '급감'한 거죠. <br /> <br />그럼 1, 2금융권을 모두 포함한 전 금융권 추세는 어땠을까요. <br /> <br />가계대출 증가 폭은 8월에 10조 원을 넘봤다가, <br /> <br />9월에는 5조 원대로 거의 반 토막 났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10월에는 6조 원 정도로 다시 반등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2금융권 가계대출이 늘어나면서 전체 금융권 대출 규모가 반등한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가계대출 취급 규모가 큰 5대 은행에서 내준 대출이 급감하면서, <br /> <br />수요가 2금융권으로 몰린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한마디로 시중은행 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상대적으로 장벽이 낮은 2금융권을 찾는 '풍선효과'가 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출 한도를 줄이는 스트레스 DSR 2단계가 시행된 데다, <br /> <br />시중은행이 자체적으로 가산금리를 높여 주택담보대출금리를 끌어올렸거든요. <br /> <br />1주택자에 대한 대출 제한도 시행했고요. <br /> <br />이런 규제가 덜한 곳을 찾다 보니 2금융권 가계대출 규모가 급증한 겁니다. <br /> <br />이 밖에 서민 급전 창구로 분류되는 카드론이나 신용대출도 늘면서 전체 가계대출 증가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2금융권 가계대출 규모가 급증하면서 정부가 단속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실 이미 단속은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을 소집해 가계대출 관리 강화를 주문했고요. <br /> <br />오는 11일에는 가계부채 점검 회의가 열립니다. <br /> <br />여기서 2금융권을 겨냥한 가계 빚 관리 방향이 제시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일단 시중은행처럼 2금융권도 '연간 목표치'를 받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0417132193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